아직 신청 낸 사업자 없어, 3~4개 준비중

▲ 제4 이동통신 사업자 신청 접수 마감이 앞으로 나흘을 남겨놓은 상황에서 이에 뛰어들 후보군의 윤곽에 관심이 쏠린다. ⓒ미래창조과학부
제4 이동통신 사업자 신청 접수 마감이 앞으로 나흘을 남겨놓은 상황에서 이에 뛰어들 후보군의 윤곽에 관심이 쏠린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이날까지 미래부에 공식적으로 이동통신 사업을 위한 주파수 할당 신청을 낸 사업자는 한 곳도 없다고 25일 밝혔다.
 
앞서 시장에서는 7∼8개의 사업자가 후보군으로 거론됐으나 이들 중 일부는 주주 구성이나 자본금 모집 등에서 큰 진전을 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런 가운데 2010∼2014년 6차례나 제4 이통사업자에 도전했다 떨어진 KMI(한국모바일인터넷)와 퀀텀모바일이 주파수 할당 신청을 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알뜰폰 사업자인 세종텔레콤도 최근 주가 급등과 관련한 조회공시 요구에 대해 “제4 이통사업자 선정에 컨소시엄 또는 별도법인을 통한 허가 신청서 제출을 검토 중”이라며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답변하기도 했다.
 
이에 미래부 관계자는 “시중 소문으로는 3∼4곳 정도가 신청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아는데 정확히 몇 개 업체나 참여할지는 접수를 마쳐봐야 안다”고 전했다.
 
이와 더불어 대기업이나 외국계 자본의 참여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때 코리아텔넷(KTNET) 컨소시엄 등 일부 업체가 일본 소프트뱅크, 중국 차이나모바일과 주주로 참여하는 문제를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으며, 현행 법률상 외국인은 기간통신사 지분을 49%까지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영위하는 사업 구조가 이동통신과 연관돼 유력한 제4 이통사업자로 거론됐던 대기업의 참여여부에도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CJ그룹의 경우 알뜰폰(MVNO)과 케이블 방송 사업(CJ헬로비전)을 하고 있고, 태광과 현대백화점도 케이블방송 사업(티브로드·현대HCN)을 하는 중이어서 참여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고 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대기업 자본이나 외국 자본의 참여 여부 역시 뚜껑을 열어봐야 알 수 있다”며 “신청이 접수되면 초기 자본금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재무 역량을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외국 자본에 대해서도 단순히 단기 수익을 노린 투기자본의 성격이 강한지, 안정적으로 국내에서 사업을 하려는 쪽인지 등 자본의 성격을 살펴볼 것”이라며 “고객 보호 차원에서도 당연히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미래부는 여전히 심사 결과 시장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되는 사업자가 없으면 제4 사업자를 선정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시사포커스 / 김유빈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