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사고에 대한 잡음이 끊이질 않는다. ‘안전불감증’이라는 단어가 이제는 친숙해져버린 탓인지, 곳곳에서는 사고횟수 최고치를 매년 갈아치우고 있다. 위험요소를 스스로 극복하기 힘든 어린이들은, 이들의 안전을 책임져야할 어린이집의 미흡한 안전대책 및 교육 등 탓에 보호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명절이라고 봐주지 않는다. 이번 추석 연휴에만 총 2만7213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9월 세월호의 악몽을 떠올리게 한 추자도 돌고래호 전복 사고는 대한민국에 또 한번 ‘사고공화국’이라는 오명을 얻게 했다.
 
작은 소홀함에도 자칫 큰 재앙으로 번지기 쉬운 건설‧조선‧중공업‧철강 등의 산업현장은 사고의 진원지다. 올해도 어김없이 각종 사고 및 재해로 피해자 가족들의 가슴에 못질을 했다.
 
현대중공업의 경우 지난 6월 철판 절단 작업을 하던 협력업체의 한 직원이 작업 도중 철판에 깔려 숨졌고, 5월에도 협력업체 직원이 덤프트럭과 부딪혀 사망했다. 계열사인 현대삼호중공업에서도 지난달 14일 작업 현장에서 일하던 노동자가 추락 사고로 숨졌다.
 
지난 7월 말에는 신세계건설이 시공을 맡은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공사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 중 바닥이 붕괴돼 12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 수많은 안전사고에도 정작 이를 책임질 사람은 어디에도 없는 모양이다. 특히 산업현장에서는 사고가 났다하면 사측은 이를 은폐하거나, 피해 당사자의 ‘주의 부족’으로 치부하는데 급급하다. 책임을 져야할 회사가, 당사와 사고는 무관하다는 제스쳐부터 취하는 모습에 저절로 눈살이 찌푸려진다.
 
사고원인이 회사에 있다는 점이 명백히 밝혀지면, ‘당사의 적절한 대응으로 그나마 사고가 커지지 않았다’는 입장을 밝히는 수순을 밟는다.
 
신세계건설은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사고 당시 브리핑을 통해 “당시 사망자가 없었던 것은 안전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있었기 때문”이라는 발언으로 국민을 당혹케 하기도 했다.
 
책임을 외면하면 사고 발생률은 줄지 않는다. 남 탓만 하는 사이, 분초를 다투는 사고 피해자는 생사가 엇갈린다. 사측이 잘못을 인정한다면 회사 안전관리자는 무거운 책임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이는 곧 사고 원인을 명확하게 밝혀 확실한 예방 및 대책을 세울 수 있게 해 안전사고 발생률을 낮추는 순기능을 하게 될 것이다.
 
안전사고 증가의 책임은 ‘무책임’에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