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인상 가능성 놓고 갑론을박 여전

▲ 국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정례회의를 이틀 앞두고 있는 가운데,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진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에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사진 / 시사포커스DB
지난해 양적완화를 종료한 미국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정례회의를 이틀 앞두고 있는 가운데,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진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에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오는 16~17일(현지시간) FOMC는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미국은 지난 2008년 12월 이후 제로금리에 가까운 초저금리(0.25%)를 유지해 왔으며 마지막 기준금리 인상은 2006년 6월로 9년 넘게 금리를 인상하지 않았다.
 
현재 시장에서는 연내 인상이 사실상 확정된 것으로 보여지는 가운데 지난 6월 인상설에 이어 9월 인상설이 힘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증권사들 12곳 중 9곳이 9월 인상 가능성을 높게 봤다는 조사도 나왔다. 개인 투자자의 57%가 미국의 금리 인상이 12월이 아닌 9월에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반면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미국의 금리인상 전망에 대해 “중국 경제 불안 때문에 9월에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세계경제전문가들 역시 9월 이후로 전망이 옮겨가고 있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실제 금리 인상 시기가 한 번 더 미뤄질 것이라는 전망도 만만치 않다. 달러가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글로벌 주식시장의 약화가 연준의 결정을 쉽지 않게 한다는 얘기다. 신흥국 내 금융 불안이나 대외 수요 감소, 저물가 등도 9월 금리 인상 불가론의 근거다. 정례회의는 앞으로 10월과 12월 두 차례 더 남아 있어 연준이 상황을 좀 더 볼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이에 옐럿 재닛 연방준비제도(Fed) 이사회 의장의 입에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이주 내로 금리가 오르더라도 수직 상승보다는 0.25% 가량의 소폭 상승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대체적인 시각이다. 또한 오르지 않더라도 불확실성 해소 차원에서 연내 인상에 대한 신호를 줄 것이라는 시각도 힘을 얻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미 미국의 금리 인상에 대한 불안감이 반영되면서 국내 증시를 짓눌러 왔다. 외국인은 금리 인상에 대한 대비로 27거래일 째 매도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5일부터 9월 11일까지 유가증권 시장에서 빠져나간 외국인 자금은 5조원을 초과한다.
 
대규모 자본 유출에 따른 위기는 지난 1997년의 IMF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단초가 되기도 했다. 특히 최근 한은이 역대 최저 수준인 1.5%의 기준 금리를 유지하고 있는 만큼 위기 규모가 더욱 커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금리 인상으로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면 달러화로 표시된 부채에 대한 부담도 그만큼 커지는 만큼 우리나라의 정부나 기업이 갚아야 할 빚이 늘게 돼 소비 여력이 그만큼 감소할 수 있다. 자본유출을 막기 위해 한은 역시 금리 인상 압박을 받게 되고 이는 사상 최악의 수준을 기록하고 있는 가계 부채에도 악영향이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다만 정부는 이미 미국이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한 신호를 꾸준히 줬던 만큼 이미 위험요소가 충분히 반영돼 있고 펀더멘털도 튼실하기 때문에 과거만큼 장기적인 위기는 없을 것이라고 자신하고 있다. 생각보다 충격이 크지 않을 수도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여전히 다른 신흥국들의 경제 위기가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로 여파가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내놓고 있다. 반면 이주 금리인상이 이뤄질 경우 불확실성 해소로 단기적인 조정을 거쳐 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인 흐름이 나올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