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범일지·윤봉길·이봉창 역사 발자취 찾아

▲ 방중 마지막 날인 4일 박근혜 대통령은 첫 일정으로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청사 재개관식에 참석해 광복 70주년에 걸맞은 ‘역사’ 행보를 이어갔다. ⓒ뉴시스
방중 마지막 날인 4일 박근혜 대통령은 첫 일정으로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청사 재개관식에 참석해 광복 70주년에 걸맞은 ‘역사’ 행보를 이어갔다.
 
이날 오전 박 대통령은 ‘상하이시 황푸구 마당로 306로 4호’에 위치한 임시정부청사에 도착해 양슝 상하이 시장과 환담을 가진 뒤 재개관식 행사에 참석했다.
 
이날 재개관하는 상하이 임시정부청사는 1919년 4월 13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이후 상하이시에 있었던 여러 청사들 중 1926년부터 1932년까지 가장 오래 사용했던 건물이며 임시정부 주석이던 김구 선생이 ‘백범일지’를 집필하기 시작한 곳이자 ‘한인애국단’을 조직해 이봉창․윤봉길 의사의 의거를 준비한 역사적인 장소로, 박 대통령은 지난 2005년 5월 한나라당 대표로 중국을 방문해 당시 충칭 임시정부청사를 방문한 적이 있으나 상하이 임시정부청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행사는 양슝 상하이 시장 환영사, 박 대통령 축사, 테이프커팅, 전시관 관람 및 방명록 작성 순서로 진행됐고 테이프 커팅에는 박 대통령을 비롯해 양슝 시장, 추궈홍 주한중국대사, 김우전 원로 애국지사, 박승춘 국가보훈처장 등 5명이 자리했다.
 
이날 행사에는 독립운동가 후손들도 참석해 그 의미를 더했는데 앞서 테이프 커팅에 참석한 김우전 원로 애국지사를 포함, 임시정부 수반이었던 이승만, 박은식, 이상룡, 김구 선생의 후손과 기념사업회 대표와 중국인 독립유공자인 저보성 후손에 이르기까지 50여명이 함께 자리를 빛냈다.
 
박 대통령은 축사에서 “광복 70주년을 맞아 우리 민족의 주권 회복에 대한 희망을 주도하였던 상하이 대한민국임시정부 청사 재개관식 행사에 참석한 것을 매우 뜻 깊게 생각한다”며 “이를 가능하게 만드는데 크게 기여한 중국 정부와 양슝 시장에게 감사하다”고 전했다.
 
이는 이번 임시정부 청사 재개관에 있어 관람환경 개선 및 전시물 교체에 중국 측이 비용(약 7억원)을 전액 부담하고 우리 보훈처와 독립기념관측은 전시설계 최종안만 확정했기 때문에 이런 측면에서 감사의 뜻을 전한 것으로 보인다.
 
또 현 청사는 과거 한중공동조사를 통해 발견됐고 이후에도 중국 측과 협의해 철거되지 않고 보존된 역사가 있어 여러 면에서 한중 우호를 상징하는 의미도 깊다.
 
이 건물(4호)은 1988년부터 우리 정부와 상하이시가 한중 공동으로 진행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유적 발굴 조사를 통해 존재가 확인돼 2년간의 복원작업 끝에 1993년 4월 13일 일반에 공개됐는데 이후 2001년 인근의 3호, 5호로 확장해 전면적인 정비와 전시 내용 보완 작업을 거쳤음에도 실내 공간 및 전시물 노후화로 관람객 이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던 중 2004년 상하이 구시가지 현대화 사업으로 철거 위기까지 직면했으나 다행히 당시 상하이시 당서기로 있던 시 주석을 설득해 청사 보존을 약속받고 건물 노후에 대해서도 2010년부터 개선하고자 했으나 여건 제한으로 계속 지연되다가 2013년 6월 한·중 정상회담에서 박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중국내 독립운동 유적지 보존을 요청한 걸 계기로, 지난해 1월 하얼빈 안중근의사 기념관 개관, 5월 시안 광복군 제2지대 표지석 설치, 그리고 금년 4월 상하이 매헌기념관 재개관의 연장선상에서 추진돼 이날 상하이 임시정부청사 재개관에 이르게 됐다.
 
이렇듯 우여곡절을 겪었던 상하이 임시정부청사는 그간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등 역대 대통령이 다녀갔고 연 평균 20만명이 넘는 한국인 관광객이 찾아와 국외 독립운동 유적의 상징으로 확실히 자리 잡았다.
 
또 이 청사를 통해 우리나라가 시 주석과 여러번 인연을 이은 바도 있어 현 시점에서 한중 우호의 상징으로 부각되기에도 더없이 의미가 깊은 장소이기에 박 대통령이 이곳을 찾은 이유도 역사적인 측면 외에 이런 함의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선지 복원된 청사 내 전시물 설명에서도 당시 중국 정부의 자금지원이나 백범일지에 있는 한중 공동 항일운동을 강조한 내용 등 과거와 달리 한중 ‘공동’을 내세운 측면이 여러 곳에서 두드러지게 드러났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