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테스코의 홈플러스 매각을 두고 입찰 후보자가 누군지, 얼마에 팔릴 것인지에 대한 기사가 쏟아져 나오면서 잠시 뒤안길로 밀려난 사건이 있다. 바로 홈플러스가 고객정보를 보험회사에 불법매매한 일이다.
 
홈플러스는 2011년 말부터 2014년 7월까지 11차례에 걸쳐 진행된 경품행사에서 고객들의 개인정보 712만건을 부당하게 입수했다. 이렇게 모아진 개인 정보는 1건당 1980원씩 쳐져 보험사로 넘겨졌다.
 
해당 사건이 더욱 충격을 줬던 것은 일개 몇몇 직원의 소행인 줄 알았던 일이 알고 보니 전 현직 임원이 깊숙하게 관여한 ‘각본 있는 범죄’였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1월 개인정보범죄 정부합동수사단은 경품이벤트 명목으로 712만건에 달하는 고객들의 개인정보를 불법 수집해 판매한 혐의로 홈플러스 사장을 불구속 기소했다. 그룹의 대표가 소비자들의 개인정보를 ‘장사용’으로 사용했다는 소식에 소비자들은 분개했다.
 
논란이 확산되면서 불매운동 조짐이 보이자 홈플러스 측은 “신선식품 싸게 판매할 것”이라며 이상한 방식으로 사과 했고, 소비자 단체들은 마케팅 전략에 지나지 않는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여기에다 할인행사 진행 중 홈플러스가 협력 업체에 마진축소를 강요한 정황이 밝혀지자 사과 과정이 ‘갑질’로 점철됐다는 비판이 터져 나왔고 홈플러스의 진정성 없는 사과가 몰매를 맞았다.
 
홈플러스의 개인정보 유상판매로 인해 피해를 입은 고객들은 아직까지도 울분을 삭히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도 매각 주체 테스코는 오로지 얼마에, 누구에게 홈플러스를 팔 것인지에만 집중하고 있다.
 
애초 삼성물산이 대구에 첫 점포를 출점하면서 알려지기 시작한 덕에 홈플러스는 토종기업이라는 이미지가 있었지만 사실은 영국 테스코 소유다. 그간 국내에서 업계 2위의 자리에 앉아 수익을 내면서 매년 1000억원에 달하는 로열티를 테스코가 가져가도 몇몇 관심 있는 이들만 ‘국부유출’이라며 속앓이를 할 뿐 별다른 저지는 없었다.
 
하지만 이후 상황은 다르다. 고객정보 매매사건이 불거지면서 이번 매각을 지켜보는 눈이 많다. 누가 사가더라도 국내에서 계속해서 영업을 하고자 한다면, 홈플러스의 이미지를 믿고 개인정보를 적어낸 소비자를 향한 분명한 사과가 선행돼야 한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