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하산 인사·홈엔쇼핑 중복 논란 여전

▲ 제7홈쇼핑인 공영TV홈쇼핑 ‘아임쇼핑’이 개국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엉성한 주문체계로 논란을 샀다.ⓒ아임쇼핑

낙하산 인사와 중복홈쇼핑 논란으로 눈초리를 받았던 제7홈쇼핑인 공영TV홈쇼핑 ‘아임쇼핑’이 개국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엉성한 주문체계로 공분을 사고 있다.

24일 홈쇼핑업계에 따르면 아임쇼핑은 당초 인터넷뿐만 아니라 모바일 쇼핑 주문시스템을 전혀 갖추지 않은 채 콜센터 인력 220명을 배치해 주문을 전화로만 받는 체제로 출범했다. 하지만 전화 주문시스템마저 불안정해 한때 연결이 잘 되지 않는 등 소비자들의 불만이 빗발쳤다. 실제 지난 22일 농협김치를 판매할 때에는 20여분동안 주문이 되지 않기도 했다.

비난 여론이 확산될 조짐을 보이자 공영홈쇼핑은 홈페이지에 “최근 주문을 위한 전화 연결이 원활하지 않은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개국 초기 회원 가입과 주문을 함께 하시는 고객이 많아 많은 고객들이 상담원을 통한 주문에 불편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아임쇼핑은 지난 14일 중소기업청 산하 중소기업유통센터가 50%, 농협경제지주가 45%,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가 5%를 출자해 자본금 800억원으로 설립했다. 홈쇼핑 판매 여건이 열악한 농축산물 등의 특성을 감안해 기존 홈쇼핑 채널에서 제공하지 못한 특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취지로 출범했다. 아임쇼핑은 농축수산물과 중소기업 제품을 각각 5:5 비율로 전용으로 판매한다. 공익성을 강조하며 판매수수료도 기존 홈쇼핑들의 수준인 34%보다 약 30% 낮은 23%(4년차 이후 20%)로 책정했다.

하지만 농민들과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다는 좋은 취지에서 만들어졌음에도 개국 전부터 나왔던 낙하산 인사와 중소기업 관련 중복홈쇼핑 채널이라는 지적은 여전히 가라앉지 않고 있다.

◆ ‘홈앤쇼핑’ 있는데 왜?

당초 아임쇼핑은 수수료율을 낮춰 당장의 수익보다 중소기업들의 판로 확대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이미 중소기업 전용 홈쇼핑 채널로 ‘홈앤쇼핑’이 있다. 지난 2011년 설립된 홈앤쇼핑은 중소기업중앙회가 33%, 기업은행중기유통센터·농협중앙회가 지분을 각각 15%씩 가지고 있다. 아임쇼핑과 홈앤쇼핑의 주주구성을 살펴보면 중기유통센터와 농협이 중복된다. 지분 참여율이 서로 다르긴 하지만 사실상 구성은 비슷한 셈이다.

또한 아임쇼핑 사업부는 크게 식품과 비식품 상품군으로 나눠져 있고 작게는 패션 상품군, 가전 등 리빙 상품군, 농, 수, 축산품군 등 총 4개로 구성돼 있다. 사업부 면면만 보면 기존 홈쇼핑과 큰 차별성은 느껴지지 않는다. 다만 상품을 중소기업으로 한정하고 있는 것만 차이가 난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성공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 정치권 낙하산 인사 논란

홈쇼핑을 정부에서 직접 만들고 운영하는 사례는 세계적으로 거의 없다. 홈쇼핑을 국가가 운영하게 되면 정권에 따른 낙하산 인사논란이 벌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애초 아임쇼핑 개국 전에도 이런 지적이 나왔었다. 우려가 현실이 됐다. 지난달 16일 <메트로>는 “제7홈쇼핑 대외협력실장에 청와대 연설기록비관실 행정관 출신의 왕 모씨가 지난달 선임됐다”며 “박근혜 정부가 관피아의 적폐를 바로잡겠다며 낙하산 근절 약속 했지만 공영홈쇼핑에도 청와대 출신 인사가 채워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왕 실장은 KBS방송작가 출신으로 2013년 3월 청와대에 입성해 지난 2월까지 2년간 청와대 연설기록비서관실에서 근무한 인물이다. 그 이전에는 지난 2006년과 2010년 경기도 지사 선거에서 김문수 전 지사를 도왔고, 경기문화재단에서 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대외협력실은 대내외 홍보업무, 뉴미디어, 홈페이지, 국내외 업무협력, 각종 행사를 총괄한다. 기업의 얼굴이나 다름없기 때문에 사실상 핵심부서나 다름없다. 이 때문에 왕 씨의 정치권 이력이 대외협력실장으로 선임이 된 배경이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메트로에 따르면 왕 실장 외에도 아임쇼핑에 청와대 출신 인사가 1명 더 있고 대관 파트에 국회의원 보좌관 출신도 소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업계에서는 아임쇼핑의 핵심부서에 정치 관련 인사들이 여럿 포진하는 것은 당초 설립 취지를 왜곡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