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던 주식시장에 ‘카운터펀치’, 다시 일어설까?

‘넉달만이다’ 한국은행 금용통화위원회가 넉달만에 콜금리를 재 인상하면서 시중은행들의 잇따른 금리인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무엇보다 당장 가계가 부담해야 하는 대출금 이자에 빨간불이 켜졌다. 예금금리가 오르면 대출금리의 인상이 뒤따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번 콜금리 인상폭은 0.25% 포인트, 큰 폭은 아니지만 넉달동안 금리를 동결해 온 금융통화위원회가 행동에 직접 나섰다는 점이 시사하는 바는 크다. 과연 이번 금융통화위원회의 결정은 시장에 어느정도의 영향을 미칠지 향후 움직임에 예의 주시할 필요성이 있다.
◆ 콜금리란? 금융기관간 영업활동 과정에서 남거나 모자라는 자금을 30일 이내의 초단기로 빌려주고 받는 것을 "콜"이라 부르며, 이때 은행.보험.증권업자 간에 이루어지는 초단기 대차(貸借)에 적용되는 금리가 바로 "콜금리"이다. 콜금리 중개업무는 한국자금중개주식회사와 서울외국환중개주식회사 등 2개 중개회사가 담당하고 있으며, 은행간 직거래도 이루어지고 있다. 콜금리는 금융기관간 적용되는 금리이지만, 사실상 한국은행의 콜금리 목표수준에 의해 크게 영향받고 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매달 한 차례씩 정례회의를 열고 그 달의 통화정책 방향을 정한다. 경기과열로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면 콜금리를 높여 시중자금을 흡수하고, 경기가 너무 위축될 것 같으면 콜금리를 낮추어 경기활성화를 꾀한다. ◆ 주식시장에 ‘찬물’ 콜금리 인상은 특히 은행주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는데, 예대마진 축소와 부동산 대출 부실로 이어져 은행들의 자산건전성악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대해 금융권의 한 전문가는 “시장이 금리인상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콜금리 마저 올라 증시로 유입되는 자금을 줄이고 경기둔화를 심화시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라고 언급하였고, 또 다른 전문가 역시 “부동산 버블 논쟁 와중에 콜금리를 인상했기 때문에 가계의 주택담보대출 이자부담 증가로 은행의 경우 건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고 주장했다. ◆ 부동산 시장 ‘작은요동’ 무엇보다 콜금리 인상에 따라 이자부담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부동산 시장은 얼어붙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관련 업계의 반응이다. 특히, 3.30대책, 버블경고, 고가아파트 담보대출규제 등에다 계절적인 비수기까지 겹쳐 부동산시장은 거래가 거의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 이자부담까지 늘어 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수요가 더 움츠러들 가능성이 커졌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For Sale’이 늘어날 수 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눈길을 끌 고 있다. 한 전문가는 "저금리가 부동산가격 상승의 주범이었는데 콜금리가 인상됨에 따라 부동산값의 하락요인이 될 수 있다"면서 "주택담보대출잔액이 늘어나던 추세에 제동이 걸리고 과잉유동성이 금융기관으로 흘러들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정부의 각종 규제와 거품에 대한 경고가 잇따르면서 부동산투자심리가 위축된 상황이기 때문에 콜금리 인상의 효과는 더 클 것 같다"면서 "다만 콜금리 인상폭이 크지는 않기 때문에 부동산가격 하락폭이 제한적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콜금리의 인상 요인 업계에서는 이번 콜금리 인상과 관련, 금통위가 지난 5.31 지방 선거 이후 운신의 폭이 넓어지자 재빨리 선제적인 통화정책을 구사한 것으로 보고 있다. 무엇보다 정부의 잇단 대책을 비웃기라도 하듯 부동산시장의 불안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으면서 최근의 저금리 기조에 대한 반발이 심화되고 있는 게 이날 콜금리 인상의 배경이 됐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물가안정을 최고 목표로 삼는 한은으로서는 선거 이후 우려되는 물가불안 우려에 한발 앞서 대응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부담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 5월 콜금리 동결의 명분이 됐던 환율 급락세가 최근 일시 중단됐다는 점도 콜금리 전격 인상의 요인이 된 것으로 풀이됐다. ◆ 하반기 경기 ‘불투명’ 하지만 이번 콜금리 인상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국내 경기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점은 여전히 부담이다. 미국과 달리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인플레이션 압력이 크지 않은 상황에서 콜금리 인상으로 가뜩이나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경기에 추가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최근 통계청의 소비자기대지수, 경기종합지수 선행지수와 한은의 기업경기실사지수 등 최근 발표되는 선행지표들이 일제히 하락곡선을 그리면서 하반기 경기 하강 우려가 심화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