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부동산시장에도 일부 거품이 끼어 있지만 1990년대 일본과는 상당히 다르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한국의 부동산 거품은 붕괴 가능성이 없거나 설령 있다고 하더라도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전망됐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8일 '가계발 금융불안 가능성과 은행의 대응'이라는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우선 일본의 경우 거품 형성기(1979~1990년)에 주택 가격이 360% 가량 상승한 반면 한국은 최근 5년간 상승률이 40%에 불과해 거품이라고 해도 규모 자체가 다르다고 지적했다. 또 일본은 거품 붕괴로 인한 1차 피해자가 기업이었기 때문에 심각한 신용 경색과 고용 불안을 야기했지만 한국은 가계라는 점에서 그 파급효과가 다르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일본은 거품 붕괴시점에서 담보인정비율(LTV)이 90~100%에 달했지만 한국은 50% 내외에 불과해 거품이 꺼진다 해도 금융회사들의 피해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이에 따라 극단적인 해외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부동산 거품이 붕괴되거나 일부 거품이 꺼지는 과정에서 가계 및 금융회사가 받는 영향력이 제한되는 등 중립적인 시나리오의 실현 가능성이 60~70%일 것으로 내다봤다. 또 부동산 과세 강화에 따른 부동산 기대 수익률의 하락이 오히려 금융상품에 대한 수요를 높여 시중자금이 연금, 보험, 주식형 수익증권 시장 등으로 유입되는 낙관적인 시나리오가 실현될 가능성도 20~30%로 예측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국내 및 해외 경기가 둔화되면서 부동산 가격이 급락하고 은행의 경영 안정성도 크게 저하될 가능성은 10% 이하로 내다봤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