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 안전 및 편의 수준 사실상 낙제점

▲ 21일 (사)광주지체장애인협회를 중심으로 구성된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접근권 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0일 광주 북구 광주사회복지회관 대강당에서 전체회의를 가지고, 장애인들의 아시아문화전당 접근권 확보 문제를 문화체육관광부에 요구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사진ⓒ광주지체장애인협회

21()광주지체장애인협회를 중심으로 구성된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접근권 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0일 광주 북구 광주사회복지회관 대강당에서 전체회의를 가지고, 장애인들의 아시아문화전당 접근권 확보 문제를 문화체육관광부에 요구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해당 단체는 오는 27일과 29일 두 차례에 걸쳐 다시 한 번 아시아문화전당 편의시설에 대한 장애인 이동권 문제 등에 대해 정밀 점검을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결과를 바탕으로 아시아문화전당과 문체부 측에 해결 방안을 요청할 계획이다.

만약 요구사항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대책위는 삭발 투쟁 등 강경 대응에 나설 방침을 세웠다.

대책위 공동대표를 맡은 서미정 광주시의회 의원은 광주시가 공연장 내 최적의 위치에 장애인 관람석을 설치토록 관련 조례로 규정하고 있지만 구석진 곳에 설치했다국내 최신 문화 전문 시설에 걸맞지 않은 점 등을 지적했지만 아무런 반응이 없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일부 시설의 경우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규정에 따른 기준조차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며 정밀 점검 이후에도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강력 투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애인 단체가 이같이 강하게 반발하게 된 데는 지난 6일 광주시의회와 장애인단체 등 23개 기관 공동으로 편의시설사용자 점검에 나선 결과 때문이다.

지역 지체장애인 등 43명으로 구성된 모니터단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내 접근로, 안전시설, 관람석, 편의시설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거쳐 장애인과 노약자들이 쉽게 이용하는 데 열악한 장소가 적지 않은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또 문화전당 내 실외 배수구의 경우 간격(3)이 넓어 휠체어 바퀴가 쉽게 빠지는 위험이 노출됐고, 지하 주차장에서 건물 승강기로 이어지는 경사로도 휠체어로 이동하기에는 힘들 정도로 가파른 것으로 조사됐다.

이를 바탕으로 탈출 수단이 가파른 경사로 외에 비좁은 승강기가 전부라는 점 등을 근거로 화재 등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를 고려한 장애인 안전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시각장애인을 위해 바닥에 설치하는 점자블록도 주 출입문에만 설치됐고 동선을 유도하는 선형블록이 없는 점도 지적을 받았다. 촉지도(觸地圖)도 표준점자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대책위는 TF팀을 구성해 보다 면밀히 문제점을 파악해 편의시설이 제대로 갖춰질 때까지 활동에 나섬과 동시에 조례 개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조례 개정에 나설 계획이다. [시사포커스 / 박태영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