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V(Sport Utility Vehicle)를 보면 프레임 타입, 모노코크 타입이라는 말이 있다. 들을 때마다 전문용어라서 헷갈리는데, 대체 어떤 차이와 의미를 가지고 있을지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두 용어의 차이는 자동차를 만드는데 있어 기본적으로 자동차체가 필요한데, 이 차체를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 구분하는 용어다. 먼저 모노코크는 유니바디라고도 하는데, 의미 그래도 자동차체와 차대가 일체가 된 구조를 의미한다.

프레임은 현재의 모노코크 공법이 개발되기 전에는 별도의 프레임(Frame, 뼈)에 엔진과 세스펜션, 변속기를 장착해 샤시를 만들고 여기에 도어와 보닛, 펜더 등을 결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프레임 타입은 기본적으로 하체 골격이 있는 구조를 말한다. 많은 부품이 연결될 수 있어 프레임의 강성이 단단한 편이다. 반면 골격 때문에 자동차가 무거워져 연비에 불리하다.

그럼, 모노코크는 연비가 좋으냐 당연한 말이다, 모노코크의 장점은 공정의 간소화로 생산성이 높아지고, 프레임에 비해 경량화가 가능해 연비가 좋게 된다. 가벼우니 가속도 좋다. 승용차의 경우 거의 전부가 모노코크 타입이라고 보면 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SUV도 도심형은 모노코크가 적용된다. 프레임이 강성이 뛰어나 험로 주행에 유리하다면 모노코크는 도심형 SUV에 주로 적용된다.

하지만, 이런 모노코크 타입에도 단점이 있다. 충격에 쉽게 찌그러진다. 물론 찌그러지면서 완충역할을 하지만 별다른 대비가 없을 경우 실내로 충돌 부위가 밀려 들어와 탑승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 모노코크지만 조그만 프레임을 활용한다. 이른바 서브 프레임이다. 엔진 등이 충격으로 운전석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최근에는 그 성격이 확연히 구분된다. 험로주행용으로 개발되는 자동차는 프레임을 고수하고, 도심형 크로스오버는 모노코크를 적극 활용한다. 그래서 소비자 사이에서도 자동차체 구조를 두고 선호도가 선명하게 갈리는 중이다. 험로 주행을 즐기는 사람은 프레임을, 도시에서 주로 이용하는 사람은 모노코크를 선호한다. 참고로 프레임 타입은 군용차에 많이 사용한다. 험로 주행이 많이 때문이다.

그런데, 충돌하면 자동차체 구조에 따라서 충격도 차이가 난다. 프레임 타입의 경우 강성은 뛰어나지만 잘 찌그러지지 않는 대신에 충격이 운전자에게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충돌 상대가 약하면 강하지만 상대적으로 강하면 더 큰 충격이 올 수 있다는 말이다. 반면 모노코크는 많이 찌그러지면서 충격을 흡수한다. 그렇기 때문에 무엇이든 일장일단이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