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산업에 드리워진 관치금융 그늘 걷어내겠다”

▲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 3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했다. 금융노조는 이번 총파업의 목적이 ‘관치금융 철폐’에 있음을 분명히 했다. 김문호 금융노조 위원장(가운데)이 총파업 돌입을 선언하고 있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은 3일 오전 9시부터 조합원 4만 명이 참여한 가운데 서울 목동 종합운동장에서 총파업에 돌입했다.

전국 시중은행 및 지방은행과 협동조합, 국책은행, 금융공기업에서 일하는 근로자 10만 명이 소속된 금융노조가 전체 지부가 참여하는 총파업에 돌입한 것은 지난 2000년 7월 11일 IMF 금융위기로 촉발된 구조조정에 맞선 총파업 이후 14년 만이다.

김문호 금융노조 위원장은 “정권과 사측의 폭압에 맞서 싸우는 금융노동자 여러분이 자랑스럽다”며 “한국 금융산업을 나락으로 빠트린 관치금융을 철폐하고, 생존권 위협과 구조조정 위기에 놓인 금융노동자를 사수하기 위해 10만 금융노동자의 염원을 모아 14년 만의 금융산업 총파업을 선포한다”고 선언했다.

금융노조는 총파업 선언 전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관치금융으로 금융산업 안정성이 심각하게 훼손되고 정부의 반노동 정책으로 조합원의 근로조건과 고용안정이 위협받는 현실을 결코 좌시할 수 없다”며 “총파업을 통해 금융산업에 드리워진 관치금융의 그늘을 일거에 걷어내겠다”고 이번 총파업의 목적이 ‘관치금융 철폐’에 있음을 분명히 했다.

또 “오늘날 금융산업의 위기는 정부와 사측이 초래한 것으로, 정부와 사측은 금융노조의 총파업에 무거운 책임감을 통감하면서 사태 해결에 나설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면서 “우리는 금융산업 위기를 타개해 나가기 위한 대화와 협상 제의에 언제든 나설 준비가 되어 있지만, 정부와 사측이 우리의 총파업을 호도하고 힘으로만 억압하려 든다면 파국적 상황을 맞이할 수밖에 없으며, 금융노조는 제 2, 3의 금융권 총파업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대회사를 통해 총파업 돌입의 원인과 요구사항을 밝혔다. 우선 KB금융 부실징계 사태와 관련해 “경영권 다툼으로 금융시장의 혼란을 야기한 회장, 행장과 금융감독원장은 반드시 사퇴해야 한다”며 낙하산 인사 척결을 요구했다.

금융공기업을 시작으로 전 금융권 종사자들의 복지 축소가 예상되는 정부의 공공기관 정상화대책에 대해서는 “노사협상까지 좌지우지하려 드는 관치금융으로 노사관계가 파탄났다”며 “투쟁으로 반드시 저지하자”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신용정보집중기구, 금융보안전담기구, 서민금융총괄기구 등을 신설해 기존 은행연합회, 금융결제원, 자산관리공사를 해체, 통합하려는 금융당국의 일방적 재편 시도를 중단할 것을 요구하고, 산업은행과 정책금융공사화의 통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구조조정 위기에 대한 대책과 노사정 합의 준수를 위한 정부의 저치도 함께 요구했다. 불법 국부유출 의혹 등이 불거지고도 점포 축소와 구조조정을 강행하고 있는 외국계 은행에 대해서도 “강제적 구조조정 분쇄 투쟁으로 맞서자”고 조합원들의 단합을 호소했다.

김 위원장은 “정부와 양당 원내대표가 합의한 출연 악속 불이행으로 농협은 11조 원의 막대한 빚을 지게 됐다”면서 “뿐만 아니라 우리은행과 수협, 농협은 업무협약(MOU) 족쇄에 묶인 채 자율경영과 책임경영이 불가능한 정부의 노예금융으로 전락했다”고 역설했다.

끝으로 김 위원장은 “올해 산별교섭은 이런 관치금융의 눈치만 보는 사측의 불성실한 교섭태도로 인해 결렬됐다”면서 “정부, 사측과 싸워서 관치금융을 철폐하고 임단투를 승리하기 위해서는 37개 지부 10만 금융노동자가 총단결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정부와 사측이 우리의 총파업을 호도하고 힘으로만 억압하려 든다면 금융노조는 10월, 11월 제 2, 3의 금융권 총파업에 나설 것”이라며 “결코 물러서지 않고 끝까지 싸워 승리를 쟁취해내자”고 강조했다. [시사포커스 / 전수영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