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활동에 의해 지속적으로 감소, 감시 및 연구 필요

기상청(청장: 이만기)은 ‘기상의 날’기념행사의 일환으로 지난 3월 21일(화) 기상청 국제회의실에서 대학, 연구소 등의 관련분야의 전문가를 모시고 한반도에서 관측한 기후변화감시 결과에 대한 발표회를 개최하였다. 이 발표에서 연세대학교 김준(金雋)교수(대기과학과)는 서울 상공의 오존양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에 의하면 해로운 태양자외선으로부터 생명체를 보호해주는 성층권의 오존은 중간층에서 지난 20년간 9.8% 가 감소했으며, 오염기체인 대류권의 오존은 지난 20년간 7%가 증가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값은 작년까지의 추세와 비교해 볼 때 성층권에서는 감소추세가 더욱 악화된 것이며, 대류권의 오존의 증가추세는 지속적인 환경개선 노력으로 완화된 것이다. 대기층의 오존전량으로는 10년당 -0.2%의 감소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오존층은 1980년대의 지속적인 감소추세(-4.90%/10년)에 이어 1990년대에 감소추세의 완화 및 약한 증가추세(1.43%/10년)로 요약될 수 있다. 그러나 계절변화, 태양활동의 변화 등의 자연적인 효과를 고려할 경우, 아직도 오존층은 인간의 활동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87년 몬트리얼 의정서 채택 이후, 우리나라는 올해부터 세계 각국의 오존층 파괴물질의 생산 및 사용 제한조치에 동참해야하며, 그 조치에 의한 효과는 2050년에 이르러서야 오존층이 1980년대 이전의 수 % 정도 감축된 정도까지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서울 상공의 오존층 변화경향은 북반구 중위도 지역의 평균적인 값이다. 2005년 남극에서 관측 사상 네 번째 크기의 오존홀이 나타났으며, 오존홀이 발견된 이래 그 크기가 가장 큰 5개의 오존홀이 최근 8년안에 집중되어 있어, 앞으로도 지속적인 오존층 감시를 늦출 수 없는 상황이 되고 있다. 이에, 정부차원에서의 지속적인 오존층 감시 및 연구 활동에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